카테고리 없음

분당서울대병원 주차요금 설명 (입원환자, 응급실)

스리슬적 2023. 5. 5. 12:27

 

 

이전에 일이 생겨서 병원에 가게 되었는데. 

 

나는 주차요금이 많이 나오는 걸 정말 싫어하기 때문에 항상 어느 곳을 가던지

 

주차요금을 자세히 알아본다. (너무 아까워..)

 

가장 최신버전의 요금의 사진을 찍어왔다. 23년 5월

분당서울대병원 주차요금

 

처음에 이걸 보면 정말 헷갈린다.

 

사실 요금 체계가 먼가 많은 거 같아서 각각의 먼가에  혜택을 주려는 건 알겠지만 처음 보자마자 이해하기 힘들다.

 

요약해 보면

 

주차장은 지하, 지상이 있다.   

 

(지하 : 1동(본관),2동(신관) 병원 바로 밑에 있는 곳이고)

 

(지상  : 장례식장, 지상노상주차장, 타워주차장, 공원주차장)

 

 한마디로 병원동 (1동, 2동) 밑이 아닌 조금 멀리 떨어진 위쪽이라 해야 하나 좀 거리가 있는 곳이 지상주차장이다.

 

1. 입원환자는

 

입원날, 퇴원날만 무료다!  입원기간에는 무료가 없다 명심.!.

입원환자는 입원 기간에는 지하 할인이 안된다! 지상만 할인이 된다.

 

4월 4일 입원,

4월 6일 퇴원이면,  (2박 3일 경우)

 

4월 4일 무료,

4월 6일 무료.

 

4월 5일 (지상주차 시 할인권 10,000원,  지하는 일반요금 50,000원이다.) ,

 

지상 주차 시에만 입원환자할인권 하루 10,000원으로 이용가능하다.

 

읽어보면 하루 10,000원  입원환자할인권은 24시간 내에 여러 번 왔다 갔다 할 수 있다

 

한마디로  입원환자 할인권 10,000원을 구입하면 지상은 무료시간 안에 언제든지 왔다 갔다 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예) 입원환자 할인권 시간   4/6 12:00 ~ 4/7 12:00을 결제하면 이 시간 안에는 언제든지 지상에서만  왔다갔다 가능하다.

 

입원환자 할인권은 쿠폰 또는 주차권 개념이 아니라 결제를 하면 차량이 등록되는 개념이다. 

 

그래서 장기주차시 중간에 차를 움직이거나 퇴원날까지 움직이지 않을 거면 퇴원날 주차관리실에서 가서  결제하면 된다.

 

입원환자할인권 구매시에는 차량번호, 입원한 사람 이름, 생년월이 필요하다.

 

주차관리실에서 간단하게 조회후 결제하는데 시스템이 그리 최신은 아닌 거 같다.

 

영화관이나 마트만 가도 요즘 자동으로 앱으로 되는데 병원을 많이는 안가봐서 잘 모르겠지만 오래된 시스템인 거 같다. 

 

차가 정말 많던데 자동이거나 앱으로 결제되면 편할거 같은 생각이 든다.

 

아무튼 24시간이 지나서 들어오면 들어온 시점에서 새로  10,000 결제 하면되고 이전에 결제했던 시간이 남아 있으면 연장하면 된다.

 

만약 안들어올거면 초과요금 10분에 500원, 1시간에 3000원 이렇게 내면 된다.

 

그런데 입원, 퇴원날은 차량 1대만 무료다.

 

하지만 입원환자할인권(24시간 일일 주차권)은 10,000원 각각의 차량에 끊을 수 있다.

 

입원기간에 면회 및  보호자 교체로 오면 지상에 주차하고  각각의 차량이  24시간 일일주차권 이용할 수 있다.

 

차가 3대왔으면 3대다 24시간 일일주차권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입원날 1대 퇴원날 1대 무료이지만, 차량이 같을 필요는 없다. 1대만 무료되는 걸 생각하면 된다.

 

요약하면

 

입원 차량 1대 무료, 당일( 1대 밤 12시까지)

퇴원 차량 1대 무료 (1대 밤 12까지)

 

입원기간 내에는

지하 할인 안됨 (20분 무료, 10분 500원, 1시간에 3,000원)

 

지상 할인돼서 1일 만원(10,000) 원  24시간 내에 왔다 갔다 할 수 있고. 주차관리실에서 구매

(미리 할 필요는 없고 퇴원 때에나, 차 나갈 때에만 결제하고 나가면 됨. 후결제. 사전무인기에서는 안된다고 함. ) 

 

팁이라 할 수 있나?

 

지상 (공원, 장례식장, 타워) 주차장은 기본 1시간이 무료이다. 면회 오면 1시간 무료에 1시간에 3000원이니 면회도 2~3시간이면 가지 않나? 그러면 할인권 하지 말고. 3시간이면  6000원이다. 이게 더 싸다;;; 아닌가?

아무튼 지상 무료 1시간 활용해도;;; 저렴하긴 하다.

 

그래도  5일 입원해 있는다 치면.. 입원, 퇴원 무료, 3일 치  삼만 원이다.. 10일이면 8만 원,,, 꽤 많이 나간다.;;  

 

주의사항으로는

 

# 1인실은 지상주차 시 1대는 계속 무료다. 지하 1인실 무료 아님

# 특실 지상, 지하 1대 계속 무료.

#  수술도 무료가 아님.

# 무인정산기 (기계)는 할인권 요금 적용 안됨.

# 출산날은 무료이다. 산모가 5/4 입원,  5/5일 출산이면 4일. 5일다 무료이다.  이거는 출구에 말하면 된다.

# 입원기간 중에 진료/검사는 무료가 아님.

 

2. 응급실  (접수시간으로부터 24시간만 무료)

 

응급실은 응급실 접수시간으로부터 24시간만 무료이다.

 

예  4/5 11:00에 접수가 돼있으면 4/6 11:00까지만 차량 1대가 무료이다.

 

그런데 응급실에 사람이 많아 기다리는 사람이 정말 많다;;; 시간이 짧은 거 같은데..

 

아무튼 차량 1대만 접수시간으로부터 24시간만 무료이고. 그 이후로는 지하에 있으면 일반요금 그냥 무조건 10분에 500 원식, 1시간에 3,000 원식 붙는다.. 이거 계속되면 비싸다.

 

물어보니 정말 이 부분이 헷갈리는데.

 

입원대기 중이면 응급실 24시간 무료시간이 끝나기 전에 지상주차장에 올려놔야지. 응급실에 대기 중이어도  24시간에 만 원짜리 이용가능하다고 한다.

 

예를 들어 4/5 11:00에 접수되면 4/6 11:00까지가 응급실 무료시간이다. 4/6 11:00 전에  지상 쪽으로 올려놓으면  지하요금은 안 나오고 지상 할인권 만 원짜리 이용가능하다. 

 

하루만원에 4/6 11:00 ~ 4/7 11:00까지 지상에서만 이용가능한 거다. 그런데. 입원이 되면 입원 당일. 4/6 14시에 입원되면 4/6일 밤 12시까지 무료가 된다. 

 

입원환자 할인권 10,000 결제했다가 입원이 됐으면 환불하러 가면 된다. 주차관리실에서 당연히 해준다.

 

정리하면

 

6/7 19:10 응급실 접수, 

6/8 입원

무료시간 : ( 차량 1대   6/8 24:00까지 지상, 지하 무료)

 

6/7 14:10 응급실 접수

6/7 입원

무료시간: (차량 1대    6/8 14:10까지 지상, 지하 무료)

 

요점은

응급실은 접수시간으로부터 차량 1대만 무료. 접수시간 끝나면 지하는 할인이 안 돼 요금 폭탄 맞는다.

경향이 없어도 지상으로 올려놓으면 그나마 할인인 된다.

 

헷갈리면 지상주차가 맘 편할 거 같다.

 

# 주의사항? 자세히 보면 너무 작게 쓰여있는데.

경차, 국가유공자카드, 복지카드 소유자는 50% 할인이 된다.

 

그러나 입원환자 할인권 10,000원짜리는 중복으로 할인이 안된다 한다.

 

혹시라도 카드 갖고 있으면 출구에 직원에게 보여주면 일반요금에서 50% 할인된다 하니.

 

잠깐 머무르고 가는 거면 카드 소지자들은 꼭 혜택을 받으면 좋을 거 같다! (이게 사전무인정산기 기계에서는 안된다.)

 

아무튼 먼가 주차요금표는 많이 쓰여있지만 입원환자와 응급실을 정리해 보았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다.